십자가의 종류

알파와 오메가 십자가
알파(A)는 십자가에서 절정을 이룬 그리스도의 사랑을 의미하고 오메가(Ώ)는 그분의 영원하신 통치를 상징한다. 모든 계절이나 승천주일에 사용한다.

닻 십자가
“우리에게 닻과 같은 소망이 있다”라는 히브리서 6:17의 말씀을 따라 닻은 초대 교회에서 “소망”을 나타내었다. 초기 기독교 유적에서 이런 십자가 모양들이 나타난다. 특별한 절기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적으로 자주 사용된다. 다양한 십자가중 가장 오래된 형태의 십자가이다.

세례 십자가
십자가와 그리스도 (Xristos)라는 단어의 첫 글자를 합하여 만든 십자가이다. 이로서 8개의 가지 모양이 나오고 8이란 숫자는 초대교회에서 재창조, 새로운 탄생을 의미하였다. 때문에 이 십자가는 새로운 영적 탄생인 세례예식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삼위일체 십자가
십자가 끝이 세 잎 클로버처럼 되어 있어 이는 성부 성자 성령 삼위하나님의 일체성을 의미한다. 삼위일체 주일에 사용한다.

비잔틴 십자가
동방 정통교회에 의해 많이 사용되는 십자가이다. 참고로 동방교회는 로마제국의 동방 지역의 교회를 가리키며 서방의 카톨릭과 분리된 또 하나의 기독교 분파를 말한다.

갈보리 계단 십자가
십자가 아래 세 개의 계단이 있으며 이는 갈보리 언덕을 상징한다. 때로는 믿음과 소망과 사랑의 계단을 의미한다.

켈트(Celt) 십자가
기독교가 5세기경 아일랜드 땅에 전해지고 이후 영국북부 스코틀랜드를 통해 북 유럽까지 전해지게 된다. 아일랜드 교회는 동그란 원형을 중간에 둔 십자가를 많이 사용한다. 원형은 이방신이나 태양을 가리키며 그 위의 십자가를 그려 우상을 이기신 빛 된 예수님을 의미한다.

승리의 십자가
IC는 ‘예수’ 이름의 첫 자와 마지막 글자이며 XC는 그리스도의 첫 자와 마지막 글자이다. 밑 부분의 NIKA는 ‘승리’를 의미한다. 이 문자들을 통해 승리자 예수임을 드러내고 있다. 종려주일, 부활절 등에 사용하는 십자가이다.

전도 십자가
네 개의 굵은 십자가들과 그 배경에 다른 네 개의 작은 십자가들이 모여 하나의 십자가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복음을 온 세상에 퍼뜨리자는 의미를 닮고 있다.

러시아 정교회 십자가
이 모양의 십자가는 러시아의 정교회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위의 막대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위의 죄패(INRI)를 가리키고 아래의 기울어진 막대는 러시아에 복음을 전하고 X형 십자가에 매달려 순교한 안드레의 십자가 모양을 의미한다. 이 둘을 조합시켜 자신들의 구세주 예수님과 복음전도자 안드레를 모두 나타내고자 했다.

전투 십자가
중세의 성곽을 연상시키는 이 모양들은 여러 개의 작은 십자가들을 합한 모양이다. 때문에 이 십자가는 악과 싸우고 있는 교회를 의미한다. 세상을 떠난 신자들은 이미 승리한 그리스도인들이고 아직 세상에 있는 우리들은 이 십자가의 의미를 잘 새겨야 할 것이다. 아직 사탄과의 전쟁 중에 있기 때문이며 그 승리의 무기는 바로 십자가이다.

꽃 십자가
위의 전투 십자가와는 달리 이 십자가는 끝 부분에 꽃 모양이 장식되어 있다. 이는 예수의 부활을 의미하거나 세부분의 꽃을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을 설명하고 있다.

백합 십자가
부활절에 주로 사용되는 십자가로서 백합은 예수님의 신성과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동방 십자가
십자가 네 방향의 길이가 같다. 초기 비잔틴 동방교회의 십자가 형태에서 주로 나타난다.

스코틀랜드 십자가
켈트족으로서 스코틀랜드에 처음 선교를 시작한 콜룸바가 지니고 다녔던 십자가의 형태이다. 영국의 북부와 대륙 북부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십자가이다.

예루살렘 십자가
십자가의 끝은 대문자 T를 연상케 한다. 이는 토라(Torah), 즉 율법을 의미한다. 율법의 완성으로서 그리스도의 사역을 의미하는 십자가 모양이다. 이러한 구약과의 관련성 때문에 이것은 예루살렘 십자가로 불려진다. 안쪽의 네 개의 작은 십자가는 복음을 4방향에 전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십자가 모양은 예루살렘에 진주한 십자군 병사들에 의해 많이 사용되었다. 그 모양이 마치 요새를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서방 십자가
십자가중 가장 단순한 형태인 이것은 그리스도의 부활과 영생의 소망을 상징한다. 예수상을 떼어낸 단순 모양의 십자가들을 선호한 일부 개신교 개혁자들에 의해 많이 사용되었고 현재 한국 개신교회의 대표적인 십자가이다.

죄패 십자가
예수에 죄패 위에 새겨진 라틴어는 “Iesus Nazarenus Rex Iudaeorum(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으로서 이를 줄여 첫 자만 따서 ‘INRI’로 쓴다. 수난절 십자가로 많이 사용된다.

몰타(Malta) 십자가
이스라엘에 주둔하였던 십자군 중 성 요한 기사단(St. John Knights)에 의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기사단은 투르크족에 패배한 후 이스라엘을 떠나 몰타 섬까지 밀려가 지낸다. 때문에 지역의 이름을 따서 몰타 십자가라고 부른다. 성 요한 기사단은 주로 부상자들과 환자들을 돌보는 사역을 하여 이들을 구호기사단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연유로 구미에서는 소방관등 구호 업무와 관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된다. 십자가의 8개의 가장자리는 8복을 상징한다고 한다.

탄생 십자가
이 십자가의 별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시 나타났던 별을 상징한다. 강림절이나 성탄 전야에 사용한다.

교황 십자가
이 십자가는 교황과 공식적으로 관련되어 사용하는 십자가이다. 즉, 교황 이외에는 이 십자가를 사용하지 않는다. 위의 세 개의 가로 막대는 갈보리의 세 개의 십자가를 상징하지만, 카톨릭교회는 교황의 통치 세 영역: 하늘과 세상과 교회를 의미한다고 해석한다.

수난 십자가
십자가 모양의 날카로운 끝은 예수님의 몸에 박힌 못을 상징한다. 때문에 사순절이나 수난절에 주로 사용한다.

감독(주교) 십자가
교회의 감독이나 주교들에 의해 사용되는 공식 십자가이다. 이들의 권위를 나타낸다.

열매 십자가
사과 열매 모양의 끝을 가진 십자가이다. 성령의 열매를 맺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의미한다.

성 안드레의 십자가
전승에 의하면, 안드레는 갈라디아와 아가야, 스키티아 지방에서 선교하였다. 네로 황제 박해시 잡힌 그는 십자가 형을 받았는데 이때 그는 예수님의 십자가형과 같은 모습으로 박힐 수 없다고 겸손을 드러내며 X형의 십자가에 매달리게 해달라고 간청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안드레의 십자가는 겸손과 고난을 의미한다.

구약의 십자가 (헬라어 T글자의 발음을 따라 타우 십자가라고 칭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나올 때 양의 피를 문설주에 발라 마지막 재앙을 피하게 된다. 이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바로 이 십자가 모양으로 피를 발랐다고 전해진다. 또한 모세가 구리뱀을 만들어 달아맨 십자가가 바로 이 모양이었다고 전해진다.

승리의 십자가
십자가 아래 부분은 둥근 모양은 세상을 상징한다. 즉, 세상을 통치하시는 그리스도의 위엄과 승리를 나타낸다.

복음서 십자가
네 개의 잎사귀는 마태, 마가, 누가, 요한 등 4복음서를 의미한다.